주식 투자 첫 경험을 떠올리며, 첫 시작은 ‘계좌 개설’부터!
주식 투자를 시작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주식 거래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다. 요즘은 은행을 방문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만 있으면 10분 내에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나 역시 처음 시작할 때는 “계좌 개설이 어렵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지만, 실제로 해보니 앱 하나 설치하고 본인 인증만 하면 되는 일이었다. 주식 거래는 일반적인 은행 계좌와는 별도로 증권사에서 개설하는 주식 거래 전용 계좌가 필요하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키움증권, 미래에셋,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다양한 증권사가 있다.
처음에는 어떤 증권사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되었다. 수수료는 어떤지, HTS(MTS)의 사용 편의성은 어떤지, 이벤트 혜택은 있는지 등 비교할 사항이 많았다. 나는 처음이라 부담 없이 시작하고 싶어 수수료 평생 무료 혜택과 신규 가입 이벤트로 주식 1주를 주는 곳을 선택했다.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이용한 비대면 본인 인증, 그리고 계좌 인증 또는 영상통화 인증을 통해 개설을 진행한다. 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인증서와 은행 계좌로 간단히 본인 인증을 하고, 약관 동의 후에 즉시 계좌가 만들어졌다. 예상보다 너무 간단해서 놀라웠다. 예전에는 증권사 지점에 가서 서류를 내야 했던 걸 생각하면, 지금의 시스템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였다.
계좌를 개설한 후에는 증권사의 MTS(Mobile Trading System) 앱을 설치한다. 예를 들어, 나 같은 경우 키움증권은 '영웅문 S',라는 앱을 통해서 주식거래를 시작했다. 이 앱을 통해 종목 검색, 주식 매수/매도, 계좌 조회 등을 모두 할 수 있다. 계좌 개설이 완료되면 바로 앱에서 종목 검색이 가능하지만, 거래를 하기 위해선 계좌에 돈을 이체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주식 투자의 시작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며, 스마트폰 하나로 빠르게 계좌를 만들고 입금만 하면 누구나 바로 시작할 수 있다.
첫 매수를 위한 종목 고르기, 종목은 신중하게 고르자
계좌를 만들고 돈도 입금했는데, 막상 무엇을 사야 할지 고민이 되었다. 대부분 초보 투자자들은 주변에서 “삼성전자 사면 돼”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나도 처음엔 그 말이 맞는 줄 알고 무작정 따라 하려 했지만, 그래도 ‘왜 그 종목을 사야 하는지’는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간단한 기업 정보와 뉴스를 읽어보기 시작했다. 주식은 결국 기업의 가치에 투자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최소한 그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최근 뉴스는 어떤지, 주가는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정도는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종목을 고를 때 나는 ‘나에게 친숙한 기업’부터 살펴보기로 했다. 예를 들어 매일 마시는 커피 브랜드, 자주 이용하는 쇼핑몰, 내가 쓰는 전자기기 등 평소에 자주 접하는 회사들을 중심으로 종목을 검색했다. 그렇게 알아보다 보니, 기업이 무엇으로 돈을 버는지, 실적은 어떤지, 향후 전망은 어떤지 관심을 갖게 되었고, PER, 시가총액, 배당률 등 기초적인 투자 지표도 하나씩 공부하게 되었다. 특히 모바일 앱에서는 종목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 두어, 처음 접하는 사람도 어렵지 않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증권사 앱에서는 “초보 추천 종목”, “많이 거래되는 인기 종목” 등 여러 카테고리로 종목을 분류해 제공하고 있어, 종목 선정이 한결 수월했다. 나는 처음에는 수익보다도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기업, 장기적으로 믿고 기다릴 수 있는 기업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주가가 오른다고 덜컥 따라 사는 것이 아니라, 왜 오르는지, 지금 사도 괜찮은 시점인지 생각해 보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결국, 주식 투자의 핵심은 정보를 스스로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첫 종목은 단순히 유명하다는 이유보다도, 내가 잘 알고 관심 있는 기업 위주로 공부하고 결정하는 것이 좋은 시작이 된다.
실전에서 느낀 매수 버튼의 긴장감
종목도 골랐고, 매수할 금액도 정했지만 막상 매수 버튼을 누르려니 손가락이 망설였다.
‘지금 사는 게 맞을까?’, ‘내가 너무 비쌀 때 사는 건 아닐까?’
처음에는 누구나 이런 생각을 한다. 나 역시 그랬다. 결국 중요한 건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시장가 매수와 지정가 매수의 개념을 익히고, 시세를 지켜보다가 무리하지 않는 가격대에 소량 매수를 진행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72,000원에 1주, 3만 원대 종목은 2~3주씩 소액으로 분산해 구매했다.
매수는 증권사 앱에서 ‘매수’ 버튼을 누른 뒤, 수량과 금액, 주문 방식(시장가/지정가)을 입력하면 된다. 시장가 주문은 즉시 체결되지만 원하는 가격이 아닐 수 있고, 지정가 주문은 내가 정한 가격에만 체결된다. 나는 처음이라 체결을 직접 경험해보고 싶어 시장가로 소량 매수를 진행했다. 체결이 완료되면 즉시 보유 종목에 표시되며, 가격 변동에 따라 평가 손익이 실시간으로 바뀐다. 이 변동을 보며 느낀 점은, ‘단 몇 천 원의 등락에도 마음이 요동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첫 매수는 내게 단순한 클릭이 아니었다. ‘나도 이제 투자자다’라는 감정적 전환점이었다. 책으로만 보던 개념들이 실제 내 계좌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은 처음엔 다소 두렵기도 했지만, 동시에 신기하고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 그리고 바로 이 시점부터 나는 본격적으로 경제 뉴스와 기업 이슈를 매일 챙겨보기 시작했다. 시장의 흐름을 읽고, 내가 산 종목에 무슨 일이 있는지 궁금해졌다. 이처럼 매수는 단순한 숫자의 거래가 아니라, 나의 관심과 공부 방향을 결정짓는 분기점이 되었다. 정리하자면, 첫 매수는 금액보다도 투자자로서의 태도와 책임감을 느끼는 시발점이 된다.
투자는 습관이다! 작은 습관부터 천천히 쌓기
처음 주식을 사고 나니, 단순히 ‘샀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다. 산 이후부터가 진짜 공부의 시작이었다. 매일 주가를 확인하는 것, 기업 관련 뉴스 보기, 주식 용어 정리, 다른 종목과 비교 분석하기 등 자연스럽게 루틴이 생기기 시작했다. 처음엔 하루에 10분만이라도 투자하자는 생각으로 시작했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주식 공부가 일상 중 하나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루틴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을 넘어 경제적 감각을 키우고, 자기 관리의 일환이 되었다.
실제로 주식 투자를 하면서 시간 관리도 더 신경 쓰게 되었고, 소비 습관도 달라졌다. ‘지금 쓰는 이 돈으로 좋은 기업의 주식을 살 수는 없을까?’라는 생각이 들며, 무분별한 지출이 줄고 투자 중심의 소비로 변화했다. 또, 주식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환율, 금리, 국제정세 등 거시경제에도 관심을 갖게 되는데, 이는 단순한 지식이 아닌 현실을 이해하는 눈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주식은 그저 돈을 불리는 도구가 아니라, 삶을 통째로 바꾸는 학습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또 하나 느낀 점은, 작게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큰 자산이 된다는 사실이다. 처음부터 큰 수익을 기대하기보다, 매달 30만 원씩 투자하고, 한 달에 1~2권의 경제책을 읽으며, 매주 뉴스 정리를 하는 식의 루틴을 만드는 것이 훨씬 지속 가능하다. 나 역시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분명한 것은 ‘시작했기 때문에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투자는 타이밍보다도 습관과 태도의 게임이라는 걸 몸소 느끼고 있다.
정리하자면, 주식은 단발성 사건이 아니라 하루하루 쌓이는 루틴과 배움이 만드는 성장의 과정이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vs 개별주식 과연 어떤 투자가 더 적합한 투자일까? (0) | 2025.07.04 |
---|---|
주식 투자 일지 쓰는 법 (1) | 2025.07.04 |
주식이란 무엇인가? 주식의 개념을 알아보자! (0) | 2025.07.03 |